정읍시는 자원의 재활용을 촉진하고 시민들의 자원재활용 실천 생활화를 위해 투명 페트병 무인회수기 3대를 시범 운영한다. 무인회수기는 자판기 형태로 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원순환 로봇이다. 이용방법은 휴대전화에 '수퍼빈'앱을 설치한 후 무인회수기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고 투명 페트병을 넣기만 하면 된다. 페트병을 넣을 때는 내용물을 비우고 라벨을 제거해야 하고, 유색 페트병이나 음료가 남은 페트병을 넣으면 투입 불가로 인식된다. 투명 페트병 1개당 10포인트가 적립되며 누적 포인트가 2000점 이상일 경우에는 앱을 활용해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다. 투명 페트병은 의류용 섬유로 재활용이 가능한 고품질 원료로, 재활용 과정을 거쳐 새로운 자원으로 재탄생된다. 시는 시민들이나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내장산 문화광장 캠핑장, 초산동 청소년수련관, 연지동주민센터에 무인회수기를 설치했다. 이후 운영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확대 설치해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무인회수기 설치는 재활용 가능 자원의 가치와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기회가 되고 자원순환 문화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많은 시민이 투명 페트병 무인회수기를 활용해서 자원순환도 하고 돈
민선 6기 제1호 공약 '함께하는 행복돌봄'으로 과감하고 전폭적인 돌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충북 증평군이 도내 최고 수준의 아이돌봄서비스로 인정받았다. 8일 군에 따르면, 전국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 227개소 평가 결과 증평군이 도내 유일하게 A등급을 받으며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여성가족부 장관상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군은 행복한 아동·만족하는 양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돌봄 수요에 맞춘 돌봄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돌봄 연계사업 발굴, 증평형 365 아동돌봄 등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아이돌봄서비스는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생후 3개월 이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부모의 양육부담을 경감하고 돌봄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있다. 아이돌보미가 직접 방문해 부모가 올 때까지 임시보육, 놀이 활동, 등·하원 준비, 준비된 급·간식 챙겨주기는 물론 긴급·일시·주말 돌봄, 병원 동행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올해부터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 중 2자녀 가정 50%, 3자녀 가정 90%의 본인부담금을 군비로 지원하는 증평형 365 아이돌봄서비스도
세종시 도심형 수요응답버스 '이응버스'가 1일 시민들에 첫선을 보인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2021년 규제 특례 실증사업에 따라 운영되던 도심형 수요응답교통수단(DRT) '셔클'을 정규사업으로 전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세종시 도심형 수요응답형버스의 고유 브랜드로 선보이는 도심형DRT '이응버스'에는 '이동에 응답하는 버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시는 이날 이응버스 운행을 기념해 보람동 일원에서 시승 행사를 개최했다. 시승 행사에 참여한 최민호 시장, 시의원, 언론 등 20여 명은 그간 1·2생활권에서만 운영하던 수요응답버스를 전 생활권으로 확대·운영하는 모습을 직접 체험했다. 시는 1일부터 7일까지 '이응버스'를 시범운행 한 후 오는 8일부터 정식 운행할 예정이다. 이응버스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승객들의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 운행하는 신개념 교통수단이다. 단, 대중교통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승하차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와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또 같은 시간대에 경로가 유사한 승객이 예약하면 자동으로 우회 노선을 생성하고 합승할 수 있도록 했다. 이응버스는 시 통합교통플랫폼 '이응' 앱을 통해 호출·결
-- 로봇, AI가 물리적 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문을 열다 -- 키논 로보틱스, 2024년 다롄 신흥 글로벌 리더 연차회에 참가 다롄, 중국 2024년 7월 1일 /PRNewswire=연합뉴스/ -- 글로벌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의 선두주자인 키논로보틱스는(이하, 키논)가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중국 다롄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 (제15회 하계 다보스 포럼)에 참여하게 되었다. 키논 CEO이자 설립자인 토니 리(Tony Li)는 여러 주요 세션에 초대되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업계 전문가들과 교류했다. 그는 마지막 날에 '자율 시스템: 인간과 기계의 만남(Autonomous Systems: Where Humans Meet Machines)'이라는 제목의 발표를 하여 전 세계 다양한 분야의 리더 및 참가자들과 AI 및 로봇 공학 트렌드를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세계적인 학자, 정치인, 기업 리더, 청년 및 시민 사회를 한자리에 모아 글로벌 이슈를 논의하였다. '성장의 새로운 경계(Next Frontiers for Growth)'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포럼은 새로운 글로벌 경제, 중국과 세계, AI 시대의 기업가 정신, 산업의 새로운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