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학교와 행사를 마치고 식당으로 갔다. 먼저 일어서는 여교사가 신랑을 데리고 다시 들어왔다. 차 갖고 온 남편을 들어오라 하여, 교장에게 인사시켰다. 인사말 끝에 신랑이 덧붙인다. “그만두라고 하는데도, 굳이 이렇게 일을 하네요”. 교장과 교사들 표정이 묘하게 변했다. 부장도 맡고, 마을일도 나서고, 나름 애쓰는 그 교사의 사회생활에 재를 뿌리고 ‘잘난 신랑’은 떠났다. 십 년이 돼가는 그 일이 지금도 선명하다. 그 교사의 근황을 가끔 듣는다. 마을 일, 바깥 일, 나서지 않고 조용히 지낸다고 한다. 마을강사 연수에 갔다. 백 명 가까이 모였는데 모두 여자다. “남자 샘은 안 계시네요” 절로 나온 말이다. 곧장 대답이 들린다. “남자는 돈 벌어야지요”. 생계를 맡는 배우자가 있어야만 마을활동을 할 수 있다면, 아직 한국의 마을운동은 갈 길이 멀다. ‘돈을 벌어야 하는’ 남자로서 마을교육 일을 하면서, 스스로 자주 되묻는다. 나는 우리 사회의 패배자(loser)인가? 대입논술이 부활된다 하여 문제를 찾아보았다. 출제자의 생각이 보인다. “논술문제가 재밌네” 그 한마디 했는데, “누가 돈 벌어오라고 하던?” 마누라의 응답이 바로 왔다. 기웃거리지 말라는 경고
"아니 여기 신발을 신고 걸으면 어떡해?” 나이 좀 더 많은 어르신이 좀 적은 두 사람에게 언성을 높인다. 두 사람은 어이가 없다는 듯, “그냥 갈 길 가세요” 대꾸한다. “신발들을 신고 오니 개똥도 묻고 더러워 지잖아” 계속 언성을 높인다. 갯골 산책로를 지나다 들은 얘기다. 한 두 달 전부터 맨발걷기 코스가 가장자리에 마련되었다. 신발 신은 사람도 무수히 보았고, 주말에 자전거가 일렬로 그 코스를 달리는 것도 보았다. ‘신발까지는 뭐라 할 것이 못되지 않을까, 자전거는 좀 그렇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지나쳤다. 그런데 안내 게시판에는 보니, 신발 신지 말고 맨발로 걸으라는 말은 있고, 자전거에 대한 내용은 아예 없다. - 주영경, 20일 아침 갯골에서
인생도 그렇고, 신문도 그렇고, 해야 할 일을 안 해서 일이 생기기보다, 안 해야 할 일을 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고, 품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내가 본 세상은 그랬다. 어느 인터넷신문 편집일을 하며 주위의 많은 요구를 받는다. 무엇을 빼 달라는 것보다, 더 넣어 달라는 요구가 대다수다. 좀 더 잘나 보이게 해 달라는 외부 필자들의 요구, 조회수를 더 높이려는 내부의 요구들이다. 종이로 발행되던 장곡타임즈를 인터넷으로 전환하면서 바라는 것은, 이 매체는 정갈하고 자제하고 깔끔했으면 좋겠다. 종이 신문보다, 공간이 무척 넓어 보이는 인터넷이라 하더라도 장황하게 말하지 않고, 단어 하나에 느낌이 실리는 간결함이 좋겠다. 손에 잡히는 뭐가 없으니, 종이신문이 늘 생각나기는 한다. 그래도 빠르게, 쉽게 기사를 올릴 수 있는 경쾌함을 즐겨야 한다. 이십사년 유월 /주영경
[박항재의 감성꽃창 17] 해마다 봄꽃이 피어오르면 내 마음속에서 가장 기다려지는 꽃은 진달래다. 산에 핀 진달래 첫 꽃을 보면 설레고 향수에 젖게 되며 감회가 새롭다. 진달래꽃은 시골 배고픈 소년이 눈 빠지게 기다렸던 하늘이 내린 분홍 선물이었다. 분홍 물든 산으로 한달음에 달려가 한 움큼 훑어낸 꽃을 입안에 털어 넣었다. 깨물어 분홍물 빨아 넘기며 허기 달랜 추억은 몇십 년이 지나도 그대로다. 한 송이 따 맛을 음미해보면 연한 신맛, 약간 떫은맛, 사르한 매운맛, 살짝 단맛이 느껴진다. 사실 맛보다는 진달래 특유의 상큼한 향이 더 기분 좋게 한다. 진달래꽃을 맛보아야 비로소 봄이 왔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다. 이처럼 진달래는 서민에게 따뜻하고 넉넉하고 평안함을 안기는 꽃이다. 진달래와 개나리는 봄꽃 짝꿍이다. 진달래 하면 개나리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따라다닌다. 봄을 상징하는 빛깔은 분홍과 노랑이 맞수라 할만하다. 분홍 대표는 진달래꽃, 살구꽃, 복숭아꽃이다. 노랑 대표는 산수유꽃, 생강나무꽃, 개나리꽃이라 할 수 있다. 진달래는 하늘을 보고 개나리는 땅을 보고 있다. 진달래는 새색시가 부끄러워하면서 신랑이 하도 궁금하여 살포시 고개 들어 쳐다보